2025학년도부터 전국 고등학교에서 고교학점제가 전면 시행됩니다. 학생들은 자신의 진로와 적성에 맞는 과목을 선택해 3년 동안 일정 학점을 이수하면 졸업하게 됩니다. 과목 선택권 확대, 절대평가 확대, 이수·미이수제 등 기존 교육과정과 달라지는 부분이 많으므로 학부모와 학생 모두 꼼꼼히 준비해야 합니다.
1. 고교학점제란?
- 학생이 자신의 진로와 적성에 따라 원하는 과목을 선택해 학점을 취득하고 졸업하는 제도입니다.
- 대학의 학점제와 비슷하게 운영됩니다.
- 정해진 과목만 일괄적으로 배우던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학생 맞춤형 교육을 실현합니다.
2. 2025년 고교학점제 시행 주요 내용
- ① 졸업 기준: 총 192학점 이수
- 공통 과목 1학년 필수 이수 (국어, 수학, 영어, 통합사회, 통합과학, 한국사 등)
- 2~3학년은 진로와 적성에 맞게 선택 과목 이수
- 출석률 2/3 이상, 과목 성취율 40% 이상일 때 학점 인정
- 미이수 발생 시 보충 학습, 재수강 등을 통해 학점 취득 가능
- ② 과목 선택권 확대
- 기존 획일적 교육과정에서 벗어나 일반선택, 진로선택, 융합선택 등 다양한 과목 개설
- 학생이 자신의 진로와 관심사에 맞는 과목 선택 가능
- 학교별로 개설되지 않은 과목은 온라인 공동교육과정 등을 통해 이수 가능
- ③ 평가 방식 변경
- 1학년 공통 과목은 기존처럼 상대평가(9등급제)
- 2~3학년 선택 과목은 절대평가(성취평가제, A~E)로 전환
- 절대평가 확대로 경쟁보다 자기주도 학습 강화 기대
- ④ 학사 운영 체계 변화
- 수강신청 – 수업 – 평가(이수/미이수) – 학점 취득 – 졸업의 과정으로 운영
- 기존 2,720시간 → 2,560시간으로 수업 시간 축소
- 학업 계획 수립부터 수강신청까지 학생 주도 참여 강조
3. 학생과 학부모가 준비해야 할 것
- 진로 계획 수립: 중학교 때부터 진로 탐색, 관심 분야 설정 필요
- 과목 선택 전략: 고등학교에서 개설되는 과목 확인, 필요시 공동교육과정 활용
- 성취도 관리: 미이수 과목 발생하지 않도록 출석·학업 관리 철저히
4. 고교학점제의 기대 효과
- 학생의 과목 선택권 확대 → 진로·적성 맞춤형 교육 실현
- 경쟁 중심의 상대평가 완화 → 자기주도 학습 역량 강화
- 이수·미이수제를 통한 학습 보완 → 기초학력 보장
5. 유의사항
- 학교마다 개설 과목 차이 발생 가능 → 입학 전 교육과정 확인 필수
- 성취평가제 도입 과목 확대 → 주요 과목 내신 변별력 약화 가능성
6. 자주 묻는 질문 (FAQ)
- Q. 고교학점제는 모든 고등학교에서 시행되나요?
A. 네, 2025학년도부터 전국 모든 일반고, 자율형 공립고, 특성화고 등에서 전면 시행됩니다. - Q. 고교학점제에서 내신이 약해지면 대학 입시는 어떻게 되나요?
A. 상대평가 과목이 줄어들고 절대평가가 확대되지만, 대학은 정성 평가 등을 통해 학생의 과목 선택과 학업 역량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예정입니다.
7. 참고 및 출처
- 교육부 공식자료: 2025년 고교학점제 시행계획 발표
- 한국교육개발원 고교학점제 종합정보: 고교학점제 홈페이지
- 내일신문 기사: 2025년 고교학점제, 과목 선택·평가방식 달라진다
- 여성동아 기사: 2025년 고교학점제 전면 시행, 무엇이 달라지나?